아이슬란드어
아이슬란드어의 orðabók은(는) 무슨 뜻인가요?
아이슬란드어에서 orðabók라는 단어의 의미는 무엇입니까? 이 문서에서는 전체 의미, 발음과 함께 이중 언어 예제 및 아이슬란드어에서 orðabók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설명합니다.
아이슬란드어의 orðabók라는 단어는 사전, 辭典, 字書를 의미합니다. 자세한 내용은 아래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.
발음 듣기
단어 orðabók의 의미
사전noun Flettu þeim upp í orðabók eða leitaðu ráða hjá einhverjum sem kann málið vel. 사전을 사용하거나 언어 지식이 있는 사람의 도움을 구한다. |
辭典noun Flettu þeim upp í orðabók eða leitaðu ráða hjá einhverjum sem kann málið vel. 사전을 사용하거나 언어 지식이 있는 사람의 도움을 구한다. |
字書noun |
더 많은 예 보기
„Viðunandi“ merkir samkvæmt Orðabók Menningarsjóðs „sem hægt er að una við, þolanlegur.“ 「웹스터 사전」(Webster’s Dictionary)은 이 문맥에서의 “적당한”(decent)을 “적절한, 만족할 만한”으로 정의합니다. |
Með slíka orðabók að vopni geturðu valið fjölbreytt orð yfir sömu hugsun og fundið ýmis merkingarbrigði. 따라서 동일한 사상에 대한 다양한 표현들도 알 수 있고 서로 다른 뉘앙스도 알 수 있습니다. |
Orðabók skilgreinir nægjusaman einstakling á eftirfarandi hátt: Sá „sem lætur sér nægja lítið, er ánægður með það sem hann fær, hófsamur“. 한 사전에서는 만족을 “현재 상태에 대해 합리적인 정도로 행복해하고 흡족해하는 것”으로 정의합니다. |
Flettu þeim upp í orðabók eða leitaðu ráða hjá einhverjum sem kann málið vel. 사전을 사용하거나 언어 지식이 있는 사람의 도움을 구한다. |
Spyrjið sjálf ykkur: „Gæti sprenging í prentsmiðju framleitt orðabók?“ ‘인쇄소가 폭발하는데 사전이 출판되는 것이 가능한가?’ |
Þótt þessar mismunandi merkingar séu taldar upp í hebreskri eða grískri orðabók þá ræður samt samhengið alltaf hvaða merking á við í hvert skipti. 히브리어 사전이나 그리스어 사전을 보면 이런 다양한 의미가 나오겠지만, 어떤 의미가 적합한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바로 문맥입니다. |
Ef þú veist ekki hvernig á að bera eitthvert orð fram skaltu fletta því upp í orðabók, hlusta á hljóðskrá með upplestri ritsins eða biðja einhvern sem les vel um aðstoð.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 모르는 단어가 있다면, 사전을 찾아보거나 출판물 녹음 자료를 들어 보거나 낭독을 잘하는 사람에게 도움을 받으십시오. |
Sama orðabók segir: „Páfinn er sem Guð á jörð, hinn einasti höfðingi trúfastur Kristi, hinn mesti konungur allra konunga.“ “교황은 말하자면 지상의 하느님이요, 그리스도의 신자 가운데 유일한 군왕이요, 가장 위대한 만왕의 왕이다.” |
Lærðu að nota orðabók vel. 사전을 잘 활용하는 법을 배운다. |
Orðabók skilgreinir orðið „hríð“ sem ‚sársaukahviðu.‘ 한 사전은 “진통”(pang)을 “발작성의 짧은 격렬한 통증”이라고 정의한다. |
Flettu þeim upp í orðabók ef þú hefur tök á eða ræddu um merkingu þeirra við einhvern sem hefur góðan orðaforða. 사전이 있다면 사전에서 그 단어들을 찾아보거나, 단어 지식이 풍부한 사람과 함께 단어들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. |
Ofangreind orðabók bendir á að jafnvel á venjulegri Forngrísku sé „kosmos grunnorð fyrir heimsskipanina, heimskerfið.“ 오늘날, 3백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여호와의 증인으로 알려져 있으며, 그들은 자신들이 섬기는 하나님의 이름을 지니고 그 이름으로 식별되는 것을 행복하게 여긴다. |
Orðabók bendir á að dýrið í Opinberunarbókinni 13:1, 2 „hafi einkenni allra hinna fjögurra dýranna í sýn Daníels . . . 「해설자의 성서 사전」(The Interpreter’s Dictionary of the Bible)에서는 계시록 13:1, 2의 야수와 관련하여 이렇게 지적합니다. |
Orðabók segir að beyging sagnarinnar, sem þýdd er „afvegaleiðir“ í Opinberunarbókinni 12:9, „lýsi látlausum verknaði sem er orðinn eðlislægur“. 한 참조 문헌에서는 계시록 12:9에서 ‘그릇 인도하다’로 번역된 동사형에 관하여 그 말은 “습관적 특징이 된 계속적인 행동을 가리킨다”고 기술한다. |
(Opinberunarbókin 16: 14-16) Ensk-íslensk orðabók Arnar og Örlygs skýrir orðið „Armageddon“ (Harmagedón) sem ‚staðinn þar sem standa mun hin mikla úrslitaorrusta milli afla góðs og ills við heimsendi.‘ (계시 16:14-16) 「웹스터 신 대학생용 사전」(Webster’s New Collegiate Dictionary)은 아마겟돈을 “선한 세력과 악한 세력 간의 최후의 결전”으로 정의한다. |
Orðabók skilgreinir það sem „eitthvað sem gerir það mögulegt að sjá.“ 사전에서는 빛을 “물체를 알아볼 수 있게 하는 것”이라고 정의합니다. |
Orðabók segir: „Nám felur í sér viðvarandi, markvissa einbeitingu tengda slíkri athygli gagnvart smáatriðum sem líklegt er að leiði í ljós möguleika, notagildi, breytileika eða skyldleika þess sem numið er.“ “연구란 의도적으로 계속 집중하며 세부점들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, 연구하는 내용의 가능성, 적용, 다양성 혹은 관계를 꼭 밝히려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.” |
Orðabók Strongs skilgreinir orðið xeʹnos sem ‚framandi (bókstaflega útlendur eða táknrænt nýstárlegur); átt er við gest eða (öfugt) ókunnugan mann.‘ 다시 한 번 참조하자면, 스트롱의 「용어 색인」은 크세노스라는 단어를 ‘타국의(문자적으로 외국의 또는 상징적으로 생소한), 암시적으로 손님 또는 (그와는 반대로) 낯선 사람’이라고 정의합니다. |
(Rómverjabréfið 12:9) „Andstyggð“ er mjög sterkt orð sem merkir „óbeit, viðbjóður, viðurstyggð.“ — Orðabók Menningarsjóðs. (로마 12:9) ‘몹시 싫어하다’(Abhor)는 매우 강한 뜻이 담긴 단어로서, “극도의 반감을 가지고 대하다”를 의미합니다.—「웹스터 신 대학생용 사전」(Webster’s New Collegiate Dictionary). |
Í Ensk-íslenskri orðabók segir um þá fyrrnefndu: „Aðfaranótt 1. maí; trúað var að galdranornir héldu svallsamkomu þá nótt.“ 「메리엄-웹스터 대학생용 사전」은 발푸르기스의 밤을 “마녀들이 약속된 장소에 가서 함께 모인다고 하는 날인 메이데이의 전야”로 정의합니다. |
En eins og orðabók bendir á skildu þeir orðið „aldrei þannig að það fæli í sér breytingu allra siðferðisviðhorfa, djúptæka breytingu á lífsstefnu manns, afturhvarf sem hefði áhrif á alla breytni hans.“ 그러나 한 사전에서 지적하듯이, 그들에게 있어서 회개라는 말은 “전반적인 도덕관의 변경, 인생의 방향의 완전한 변화, 행실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전환을 전혀 시사하지 않[았]”읍니다. |
Engin orðabók var tiltæk svo að hann fór að búa til orðalista með túvalúeyskum orðum. 이용할 수 있는 사전이 없었기 때문에, 그는 투발루어 단어집을 직접 만들기 시작하였습니다. |
3 Orðabók skilgreinir trú sem ‚óhagganlega tiltrú á eitthvað sem engin sönnun er fyrir.‘ 3 한 사전은 믿음을 “증거가 전혀 없는 것에 대한 확고한 신념”이라고 정의합니다. |
Orðabók gefur upp samheitin „leiða hugann að, hugsa, ígrunda, íhuga, melta, skoða, yfirskoða, yfirvega.“ 한 사전에서는 ‘묵상하다’로 번역되는 영어 단어(meditate)를 “어떤 것에 생각을 집중하는 것, 깊이 생각하거나 숙고하는 것”으로 정의합니다. |
(1. Tímóteusarbréf 2:4) En þeim var vandi á höndum því að engin orðabók var til á túvalúeysku. (디모데 첫째 2:4) 성서 출판물을 투발루어로 발행한다는 것은 도전이 되는 일이었는데, 이용할 수 있는 투발루어 사전이 전혀 없었기 때문입니다. |
아이슬란드어 배우자
이제 아이슬란드어에서 orðabók의 의미에 대해 더 많이 알았으므로 선택한 예를 통해 사용 방법과 읽어보세요. 그리고 우리가 제안하는 관련 단어를 배우는 것을 잊지 마세요. 우리 웹사이트는 아이슬란드어에서 모르는 다른 단어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새로운 단어와 새로운 예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.
아이슬란드어의 업데이트된 단어
아이슬란드어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?
아이슬란드어는 게르만어이자 아이슬란드의 공식 언어입니다. 게르만어 그룹의 북게르만어 분파에 속하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입니다. 아이슬란드어 사용자의 대부분은 약 320,000명으로 아이슬란드에 거주합니다. 8,000명 이상의 아이슬란드어 원어민이 덴마크에 살고 있습니다. 이 언어는 또한 미국에서 약 5,000명과 캐나다에서 1,4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사용합니다. 아이슬란드 인구의 97%가 아이슬란드어를 모국어로 생각하지만, 아이슬란드 이외의 지역, 특히 캐나다에서는 화자 수가 감소하고 있습니다.